피천득의 인연
오늘은 피천득님의 [인연]을 살짝 여기에 올려봅니다.
학창시절에 꼭 한번, 아니 여러번 읽었을 수필인데,
마치 동화속에서 읽는 수필처럼 다가왔어요.
교과서로만 읽어서 부분적으로 읽고, 부분적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나는 그전에는 피천득이라는 이름이 특이해서 읽어볼 까 했었어요.
그런데 몇번을 그 뒤로 읽었어요. 오늘도 또 읽어 보았습니다.
이런 글이 [불후의 명작]이죠.
우리나라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은 수필이라고 합니다.
시인 박준은 피천득의 [인연]을 귀퉁이가 다 닳아 없어질 때까지 읽었다고 합니다.
인 연
- 피 천 득-
지난 사월 춘천에 가려고 하다가 못 가고 말았다. 나는 성심여자대학에 가 보고 싶었다.
그 학교에 어느 가을 학기, 매 주 한 번씩 출강한 일이 있다.
힘드는 출강을 한 학기 하게 된 것은, 주 수녀님과 김 수녀님이 내 집에 오신 것에 대한 예의도 있었지만 나에게는 사연이 있었다.
수십 년 전 내가 열일곱 되던 봄, 나는 처음 동경에 간 일이 있다.
어떤 분의 소개로 사회교육가 미우라 선생 댁에 유숙을 하게 되었다.
시바쿠 시로가네에 있는 그 집에는 주인 내외와 어린 딸 세 식구가 살고 있었다.
하녀도 서생도 없었다. 눈이 예쁘고 웃는 얼굴을 하는 아사코는 처음부터 나를 오빠같이 따랐다.
아침에 낳았다고 아사코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하였다.
그 집 뜰에는 큰 나무들이 있었고 일년초 꽃도 많았다. 내가 간 이튿날 아침,
아사코는 '스위트피'를 따다가 화병에 담아 내가 쓰게 된 책상 위에 놓아주었다.
'스위트피'는 아사코같이 어리고 귀여운 꽃이라고 생각하였다.
성심여학교 소학교 일학년인 아사코는 어느 토요일 오후 나와 같이 저희 학교까지 산보를 갔었다.
유치원부터 학부까지 있는 가톨릭 교육기관으로 유명한 이 여학원은 시내에 있으면서 큰 목장까지 가지고 있었다. 아사코는 자기 신발장을 열고 교실에서 신는 하얀 운동화를 보여주었다.
내가 동경을 떠나던 날 아침, 아사코는 내 목을 안고 내 뺨에 입을 맞추고,
제가 쓰던 작은 손수건과 제가 끼던 작은 반지를 이별의 선물로 주었다.
옆에서 보고 있던 선생 부인은 웃으면서 "한 십년 지나면 좋은 상대가 될거예요" 하였다.
나는 얼굴이 더워지는 것을 느꼈다. 나는 아사코에게 안데르센의 동화책을 주었다.
그 후 십 년이 지나고 삼사 년이 더 지났다.
그 동안 나는 국민학교 일학년 같은 예쁜 여자아이를 보면 아사코 생각을 하였다.
내가 두 번째 동경에 갔던 것도 사월이었다.
동경역 가까운 데 여관을 정하고 즉시 미우라 댁을 찾아갔다. 아사코는 어느덧
청순하고 세련되어 보이는 영양이 되어 있었다. 그 집 마당에 피어있는 목련꽃과도 같이. 그 때 그는 성심여학원 영문과 삼학년이었다. 나는 좀 서먹서먹했으나, 아사코는 나와의 재회를 기뻐하는 것 같았다. 아버지 어머니가 가끔 내 말을 해서 나의 존재를 기억하고 있었나 보다.
그 날도 토요일이었다. 저녁 먹기 전에 같이 산보를 나갔다. 그리고 계획하지 않은 발걸음은 성심여학원 쪽으로 옮겨져 갔다. 캠퍼스를 두루 거닐다가 돌아올 무렵 나는 아사코 신발장은 어디 있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는 무슨 말인가 하고 나를 쳐다보다가, 교실에는 구두를 벗지 않고 그냥 들어간다고 하였다. 그리고는 갑자기 뛰어가서 그날 잊어버리고 교실에 두고 온 우산을 가지고 왔다. 지금도 나는 여자 우산을 볼 때면 연두색이 고왔던 그 우산을 연상한다.
<셀부르의 우산>이라는 영화를 내가 그렇게 좋아한 것도 아사코의 우산 때문인가 한다. 아사코와 나는 밤늦게까지 문학 이야기를 하다가 가벼운 악수를 하고 헤어졌다. 새로 출판된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세월>에 대해서도 이야기한 것 같다.
그후 또 십여 년이 지났다.
그 동안 제2차 세계대전이 있었고 우리나라가 해방이 되고 또 한국전쟁이 있었다.
나는 어쩌다 아사코 생각을 하곤 했다. 결혼은 하였을 것이요, 전쟁 통에 어찌 되지나 않았나, 남편이 전사하지나 않았나 하고 별별 생각을 다하였다.
1954년 처음 미국 가던 길에나는 동경에 들러 미우라 댁을 찾아갔다. 뜻밖에 그 동네가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그리고 미우라 선생네는 아직도 그 집에 살고 있었다. 선생 내외분은 흥분된 얼굴로 나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한국이 독립이 돼서 무엇보다도 잘됐다고 치하를 하였다.
아사코는 전쟁이 끝난 후 맥아더 사령부에서 번역 일을 하고 있다가, 거기서 만난
일본인 이세와 결혼을 하였다는 것이 마음에 걸렸다. 만나고 싶다고 그랬더니 어머니가 아사코의 집으로 안내해주었다.
뾰죽 지붕에 뾰죽 창문들이 있는 작은 집이었다. 이십여 년 전 내가 아사코에게 준
동화책 겉장에 있는 집도 이런 집이었다. "아, 이쁜 집! 우리 이담에 이런 집에서 같이 살아요."
아사코의 어린 목소리가 지금도 들린다.
십 년쯤 미리 전쟁이 나고 그만큼 일찍 한국이 독립되었더라면 아사코의 말대로 우리는 같은 집에서 살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뾰죽 지붕에 뾰죽 창문들이 있는 집이 아니라도. 이런 부질없는 생각이 스치고 지나갔다.
그 집에 들어서자 마주친 것은 백합같이 시들어가는 아사코의 얼굴이었다.
<세월> 이란 소설 이야기를 한지 십 년이 더 지났었다. 그러나 그는 아직 싱싱하여야 할 젊은 나이다.
남편은 내가 상상한 것과 같이, 일본 사람도 아니고 미국 사람도 아닌 그리고 진주군 장교라는 것을 뽐내는 것 같은 사나이였다.
아사코와 나는 절을 몇 번씩 하고 악수도 없이 헤어졌다.
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아사코와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오늘 주말에는 춘천에 갔다 오려 한다. 소양강 가을 경치가 아름다울 것이다.
#사진수필 #좋은글
* 글을 올리고 나니, 갑자기 가요계의 시인 조동진의 노래가 생각납니다.
작년에 소천을 했지만, 아직도 그의 노래가 들리는 듯 합니다.
제목 [제비꽃]이 피천득의 [인연]과 많이 닮은 것 같습니다.
[제비꽃]은 '순수한 사랑' 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요.
'조동진 - 제비꽃'
<2021년 10월 22일 내 생일에 작성한 글>
'시와 칼럼과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세이, 누구나 외롭다. (2) | 2022.09.28 |
---|---|
라일락 = 수수꽃다리, 이문세의 가로수 그늘 아래 서면(1988년) (1) | 2022.09.28 |
시인 장석주의 '대추 한 알' - 열매 맺는 인생은 저절로 되지 않는다. (2) | 2022.09.24 |
스토리, 큰 돌과 작은 돌이 주는 교훈 (1) | 2022.09.24 |
[잔서완석루 이 O 정 작가]의 ♡ 82년생 김지영 ♡에 대한 단상 (1)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