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1096 서울대 최인철 심리학 교수의 인지적 종결 욕구(NFC)에 대하여 “진실보다‘ 믿고 싶은 거짓’ 매력적?… 불안한 탓” 김윤진 기자 입력 2023-08-28 03:00업데이트 2023-08-28 03:46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불안은 비과학적 사고의 주범 거짓 정보에 현혹되지 않으려면 확실하고 빠른 해답 좇는 ‘인지적 종결 욕구’ 경계해야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사람들이 진실이 아니거나 진실이라고 검증되지 않은 정보에 쉽게 현혹되는 원인을 개인의 문제로만 환원해 설명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이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맥락, 즉 사람들이 진실보다 ‘믿고 싶은 거짓’을 택하는 동기와 불안 등 감정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강조한다. 동아일보DB 개인이나 조직을 둘러싼 환경의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증폭되고 있는 .. 2023. 9. 3. 천광암 칼럼 - 노벨상 0 국가의 자충수 - 기초과학 투자는 왜 늘리지 않는가? 동아일보|오피니언 [천광암 칼럼]기초과학 잡는 “R&D 카르텔 타파”… ‘노벨상 0’ 국가의 자충수 천광암 논설주간 입력 2023-08-28 00:03업데이트 2023-08-28 01:26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정부, 내년 기초연구 등 R&D 예산 14% 삭감 ‘암흑기’에 전폭 지원, ‘AI 메카’ 된 캐나다 하이테크선 목표·결과 불일치 비일비재 ‘기초과학 없는 첨단산업’은 모래성 쌓기 천광암 논설주간 인공지능(AI) 바둑 ‘알파고’가 선보인 것은 2016년 초다. AI 반도체로 유명한 엔비디아의 당시 시가 총액은 약 160억 달러. 전 세계 반도체 기업 가운데 13위였다. 그로부터 7년여가 지난 지금 엔비디아의 시총은 75배인 1조2000억 달러에 육박한다. 전 세계 반도.. 2023. 9. 3. 헨리 키신저 이야기 - 조선일보사 WP “100세에도 AI 연구… 지치지 않는 호기심이 장수 비결” 키신저 생일… 아들이 WP에 기고 이민석 기자 입력 2023.05.29. 03:00 미·중 수교와 베트남전 종전 등 1970년대 세계 안보 지형을 바꿔놓은 격변 당시 미국 외교를 진두지휘했던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27일로 100세 생일을 맞았다. 리처드 닉슨과 제럴드 포드 등 그가 현직에서 보좌했던 대통령 2명뿐 아니라 후임 국무장관 14명 중 8명이 이미 고인이 됐지만, 그는 여전히 왕성하게 강연·저술·인터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키신저 전 장관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두 권의 책을 쓴 뒤 최근 세 번째 저서 작업에 들어갔다. 지난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빌더버그 국제회의를 마치고 돌아온 키신저 전 장관은 100세 기념행사를 위해.. 2023. 9. 2. 탈무드 하브루타 러닝 - 돌을 팔아 넘긴 농부의 이야기 그리고 하브루타 탈무드 하브루타 러닝 & 탈무딕 디베이트 무단전재 절대금지 “상인이 해서는 안 되는 것에는 세 가지가 있다. 과대 선전하는 것 값을 올리기 위해 저장하는 것 계량을 속이는 것“ - 탈무드 바바 메치아편 돌을 팔아 넘긴 농부 옛날 투르크인의 나라에서의 일이다. 정직하고 성실한 농부 하나가 깊은 산골에서 살고 있었다. 어느 해, 유난히 뽕나무가 잘 자라서 누에도 번식을 많이 하게 되었다. 부지런한 농부는 누에고치를 잔뜩 따서는 인근 도시에 가서 팔기로 작정을 했다. 그가 살고 있는 산골에서 며칠 걸리지 않는 곳에 꽤 번성한 도시가 있기 때문에 고치를 내다 파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 같았다. 농부는 고치를 자루 속에 가득 채워서 나귀의 한쪽 등에 매달았다. 그리고 무게의 중심을 맞출 생각으로 반대쪽 등에.. 2023. 8. 25.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274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