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지 않는 인생은 정녕 가치가 없다 !!
<벅찬 질문 - 신성한 호기심>
“의문은 지성을 낳고, 믿음은 영성을 낳는다.” - 이어령 박사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질문을 던지며 살아야 한다.
질문을 던지지 않으면 절대 답을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반대로 답이 주어져 있는데, 질문을 만드는 방식은 어떨까?
이스라엘 유학시절에 어느 어린이 교실에 참여한 적이 있다.
그 교실에서 단연 한국 학생들이 두각을 나타낸다. 수업이나 시험에는 무척 강하게 훈련되어져 있고, 주입식 교육의 혜택(?)을 많이 받은 아들이어서 겉으로 보이기에 잘하는 것은 당연하게 보였다. 그렇지만 그 한국 학생들이 잘하는 것은 ‘하이브리드식 융합형 교육’을 받아서 그렇다고 보아야 한다. 한국식과 이스라엘식의 혼합이나 융합이 이루어진 ‘믹스 효과’ 라고 볼 수 있다.
거기서 숙제를 잠시 본 적이 있는데, 한국은 문제를 주고 답을 구하는 일방적인 하향식 교육을 받는 반면에, 이들은 반대로 답을 주고서 질문이나 문제를 만들어 오라는 것이 숙제였다. 당시 그 숙제 중에 하나가, root √2를 주고서, 루트 2가 나올 수 있는 질문을 만드는 것이었다. 일종의 역산하는 방식의 숙제인데, 이것은 많은 고민을 해야 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들 학교에서 주는 숙제는 상향식 문제였다. 이런 식으로 한국에서 숙제를 준다면 아마 놀라운 학습반전이 일어날 수도 있다. 우리는 너무 배운데로만 행동하는 집단적 습관이 있다. 이를 타성이라고 나는 부른다.
한국에서 주는 숙제를 보면 지극히 베끼기가 좋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스라엘에서 주는 숙제는 베끼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도움을 요청하고 질문을 던져야만 하는 것이다. 새로운 생각을 이끌어 내는 질문=물음이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사전을 찾아야 하고, 문헌을 찾아야 하고, 인터넷을 검색해야 하고, 지식인들이나 전문가들에게 물어보아야 한다. 모르는 것은 알면 된다. 하지만 검색을 해도 구하기 힘든 질문이나 문제들이 많다. 나는 이것을 ‘개인의 지적 한계를 넘어서는 벅찬 문제’라고 부른다.
결론적으로는 [솔루션이 있는 질문]을 만들고 던질 수 있어야 한다.
탈무드에 [문제가 있는 곳에 답이 있다 Where there is a way, there is a way] 는 말이 있다. 그런데 누구나 풀 수 있는 쉬운 문제를 문제로 부르지 말자. 누구나 풀 수 없는 문제, 혼자서는 도저히 풀기 어려운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우리는 만들어야 한다.
의문은 지성을 낳는다.
의문이 없는 곳에서는 문제도 없다.
단 하나의 질문이 당신의 인생을 바꿀 수도 있다.
우리가 질문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자신이 성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질문하지 않으면 우리는 내적으로 절대 성장할 수 없다.
그런데 그 답을 다른 이에게서 구하지 않으려고 해야 한다.
의존심(Reliance)을 버려야 한다.
“왜 우리는 자신에게서 답을 찾으려고 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서 답을 찾으려고 하는가?“ - 헨리 민츠버그(경영학자)
마지막으로 허병민 선생의 말로 갈무리한다.
“사람들의 인생을 변화시키거나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문을 하나만 던진다면,
당신은 어떤 질문을 하시겠습니까?“
이 질문에 대해서 이스라엘식으로 자신만의 질문을 만들어보라.
단서는 다음과 같다. 절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같이 거시적인 측면이 아니라,
자신의 삶과 생활에서 실제로 접하고 일어나는 것을 다루어야 한다.
질문을 만들면서 구체적이여 하고, 예나 아니오 식의 형식적인 질문은 피해야 한다. 사유가 담겨야 한다는 것이다. 이 질문이 자신의 삶의 이야기나 경험이나 일화등으로 나와야 한다.
곧 우리는 스토리텔러와 스토리라이터로서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질문을 만들어야 한다. 벅찬 질문, 그렇지만 흥분하게 만드는 신성한 호기심을 유발하는 질문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럴려면 ‘유치원생같이 질문을 던지는 능력’을 발휘해보자.
[나는 아는 것이 전혀 없다] 라고 여기고 마음 편하게 질문을 만들고, 던져보면 어떨까?
필자 - Paul Kim
크리스찬 인문학강사
이스라엘 히브리대 유학
성서와 탈무드 연구가
최인아 책방 주인의 명칼럼을 읽다. - 존중한다면 물어보세요. (0) | 2023.03.30 |
---|---|
3월 25일 토요일 하브루타 개념코칭 강의에 초대합니다. (0) | 2023.03.23 |
진정한 자식교육이란 무엇인가? (0) | 2022.12.28 |
시험공부 - 태도변화 - 값진 성공 (0) | 2022.12.28 |
2016년 1월 23일, 대설과 제주공항, 그리고 2000년 예루살렘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