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하브루타와 코칭 & 멘토링112

코칭타임, 좋은 사람 컴플렉스에 강한 한국인 좋은 사람 콤플렉스 “나는 좋은 사람이 되기보다 온전한 사람이 되고 싶다” 심리학자 칼 융 살면서 저가 자주 듣는 말이 있습니다. “당신은 너무 착하고 좋은 사람이다.” 라는 것입니다. 그 말은 칭찬일 수도 있고, 반대로 “당신은 험한 세상에서 물러 터진 사람이다.” 라는 의미이기도 할 것입니다. 심리학적으로 말하면 ‘좋은 사람 콤플렉스’를 가진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유학시절 옆집에 아주 귀엽고 씩씩한 여자아이가 있었습니다. 이 아이는 자주 내 집에 와서 이것저것 물어보기도 하고, 한국 요리도 맛있게 먹곤 하였습니다. 그 아이의 엄마에게 “애가 무척 착하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다음 날 그 여자아이의 엄마가 대뜸 찾아와서, “미스터 킴, 당신 때문에 밤에 잠을 못잤다.” 라고 하였습니다. .. 2022. 9. 14.
하브루타, 열심히 배우건만 질문하다가 떠나는 인생 세상에서 반드시 진지하게 물어볼 10가지 질문과 반드시 답변해야 할 10,000가지 대답들 인간에게는 여러가지 지능이 있다고 합니다. 가장 많은 지능이 바로 지적 능력을 물어보는 지적 지능 또는 지능지수입니다. 물론 두뇌학에서는 6~7가지 지능을 제시합니다. 여기에는 감성지능, 도덕지능, 경험지능, 예술지능, 운동지능, 안전지능이 있습니다. 여기에 한가지 더 있다면 질문지능이 들어갑니다. 사람들은 질문하는 존재입니다. 인간은 질문을 통해서 성장해 왔으며, 질문이 없이는 교육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질문하는 자녀나 학생은 총명해집니다. 질문을 받게 되면 사람들은 그것을 대답하느라 머리를 써야 하고, 생각의 기능을 확장해야 합니다. 생각하는 힘이나 생각하는 능력을 높이게 되면 학문이 발전하고, 지성이 발전하고.. 2022. 9. 14.
하브루타 키즈 - "아빠, 동.식물들은 어느 계절을 좋아할까요?" 하브루타 키즈 - "아빠, 동.식물들은 어느 계절을 좋아할까요?" 2017년 09월 13일 수요일 유치원일기 2탄 동.식물들은 어느 계절을 좋아할까요? 오늘도 유치원에서 아이를 안고 오면서 막내 아이의 질문이 또 궁금했다. 내 의도는 유치원 일기를 써야 하기에 스토리를 전개하려면 아인이의 질문이 절대적이다. 요즘들어서 호기심이 부쩍 강해진 아인이가 질문을 한다. "아빠, 동물들은 어느 계절을 제일 좋아할까요?" "글쎄, 그런 생각을 안해보았는데, 봄이나 가을을 좋아하지 않을까? "아빠, 동물들은 가을을 제일 좋아해요" "그래? 왜 가을을 제일 좋아한다고 생각하니 ?" "겨울은 일단 추워서 싫어해요. 그리고 봄에는 따뜻해져서 졸려서 싫어해요." "그럼, 여름은?" "여름도 싫어해요. 일단 동물들이 털이 두.. 2022. 9. 13.
‘정답’ 찾기보다 ‘질문 찾기’ 능력을 업그레이드하자 지금 21세기에 한국이나 세계 교육계의 최대 관심사는 ‘질문하는 힘 – 질문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에 하브루타의 열풍이 불어 온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하브루타라는 이름으로 ‘질문하는 공부법’이라고 붙인 것은 수정이 불가피합니다. 질문이라는 것은 ‘생각하는 힘 – 사고력’을 바탕으로 생성되는 것이기에 ‘하브루타’가 곧 ‘질문하는 힘’이라고 불러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하브루타라는 말 대신에 그저 ‘질문력’이라는 이름으로 본 강연을 이어가려고 합니다. 지금 시대는 ‘정보기술의 시대’ ‘디지털 또는 디지로그 시대’ ‘ AI-인공지능의 시대’ ‘메타버스의 시대’ 등 다양한 이름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전형적인 아날로그 세대인 강연자로서는 ‘불편’한 시대를 맞이한 것 같습니다. 물론 갈수록 편리.. 2022. 9. 13.
728x90
반응형
LIST